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탁월함

탁월한 사람들은 자기경영에 성공한 사람들이다 자기경영이라는 말은 상투어처럼 널리 퍼진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이 갖는 본래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은 소수인 듯하다. 성공이 필수 덕목처럼 된 사회에서 자기경영은 성공을 위한 자기수련, 자기억제, 자기규율로 받아들여진다. 이런 생각이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은 아니다. 수천 년 전 현인들이 지도자의 덕목으로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말한 것도 있으니 말이다. 큰 일을 하는 사람, 예를 들어 지역, 사회, 국가를 위해 일할 사람은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공익을 정직하게 추구해야 한다. 그러니 자신을 먼저 다스려야 한다. 이런 의미 부여가 전혀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이 생각은 다소 부족한 생각이다. 우리는 모두가 지도자가 아니며 지도자가 될 필요도 없다. 과거 사회는 권력이 정해져 있었으며.. 더보기
탁월함과 지식(2) 탁월한 성취를 만드는 것이 탁월함이고, 지식은 탁월함을 얻는 원천이다. 그렇다면 어떤 지식을 말하는 것일까?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식을 잘 구분해야 한다. 앞 글(탁월함과 지식(1))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 구분을 설명했는데, 그가 한 구분은 지식에 대한 전체상으로서는 의미가 있지만 현대사회를 사는 지식근로자가 필요로 하는 탁월함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다른 구분이 필요하다. 즉, 지식근로자가 지향하는 탁월함이라는 관점에서 이들이 배우고 훈련할 수 있도록 특정될 필요가 있다. 지식근로자의 탁월함은 완벽한 인간이나 최고의 수양은 아닐 것이다. 지식근로자의 탁월함은 전문가로서 혹은 조직 안에서 자신의 역할을 탁월하게 수행하고 계속 성장하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지식을 구분해 본다. 문정엽,.. 더보기
탁월함과 지식(1) 탁월함은 매우 뛰어난 성취를 이끄는 힘을 말한다. 탁월함은 인간이 보여주는 자질이자 기능이다. 우리는 탁월함을 탁월한 사물, 탁월한 기계처럼 지칭하지는 않는다. 사물 자체는 아름다움이라는 가치로 평가할 수 있지만 사물은 그것 자체로 존재하기 때문이고, 기계와 같은 인공물은 인간이 창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탁월함은 인간의 활동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내는 힘이다. (자연에 대해 신이 부여한 최고의 창작물로 말하는 것은 논외로 하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추구해야 하는 최고의 덕목으로서 탁월함(Arete, 아레테)을 말했고, 그 예로 구두수선공, 의사를 설명했는데 탁월함은 인간이 활동하는 모든 분야에서 드러난다. 이제 탁월함을 만들고 발휘하는 원천을 생각해 보자. 우선 타고난 재능이나 자질, 행동에서 .. 더보기
내가 생각하는 4인의 탁월한 인물 필자가 생각하는 위대함= 탁월한 성취의 본질은 다음과 같다. 1. 선한 영향력: 탁월한 성취의 결과가 많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 2. 지속성: 오랜 기간 사람들의 삶과 세계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 그렇다면 탁월한 성취로 불러 마땅한 인물과 그들의 업적을 살펴보자. 당신은 누구를 위대한 인물이라고 생각하는가? 무엇을 탁월한 업적이라고 생각하는가? 다양한 의견이 가능하다. 오늘날의 세계를 만들어 온 바탕으로서 인간이 지금까지 이룩해 온 업적들은 여러 분야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과학, 예술, 산업, 그리고 정신사까지. 필자는 특별히 정신사에 주목한다. 우리가 살아 가는 세계는 눈에 보이는 문명의 발전이 이룩해 온 세계이지만, 실제로 세계를 바꿔 온 힘은 인간 자신과 세계를 바라보는 생각의 변화에 .. 더보기
MBA에서 가르치지 않는 경영학(17) 자신을 경영하라 나는 무엇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가 만일 청소부로 불리는 어떤 사람이라면, 그는 미켈란젤로가 그림을 그리듯이, 혹은 베토벤이 작곡을 하듯이 혹은 셰익스피어가 시를 짓듯이 거리를 청소할 수 있어야 한다. 그는 거리를 너무나도 깨끗한 게 청소해서 하늘과 땅에 있는 신들이 "여기에 자신의 일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위대한 청소부가 있다'"라고 말할 수 있도록 일해야 한다. -마르틴 루터 킹 주니어 탁월함에 대해 리더는, 혹은 리더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탁월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탁월함이란 어떤 의미일까? 고대 그리스에서는 많은 지성들이 탁월한 삶을 탐구했다. 탁월한 삶은 인간에게 최고의 덕목인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르테(Arte)'라고 탁월함을 지칭하면서, 이것은 인간에게 있.. 더보기
탁월함에 대한 질문 2021.1. 13 탁월함이란 무엇을 말하는가?탁월함의 원천은 무엇인가?탁월한 사람이 되려먼 어떻게 해야 하는가?탁월한 사람들은 어떻게 탁월하게 되었는가?탁월함을 얻기 위해 극복해야할 장애는 어떤 것들인가?탁월한 사람이 되기 위해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탁월한 사람이 되기 위해 바꿔야 할 것은 무엇인가?탁월한 사람이 되기 위해 행동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왜 탁월함을 추구해야 하는가?어떤 탁월한 사람이 되고 싶은가? 더보기
탁월함은 평등하지 않다 탁월함은 인간이 추구해야 하는 제1의 덕목이다. 자신의 인생에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경험이나 결과를 얻고 싶다면 분야가 무엇이든 탁월해야 한다. 그런데, 모든 인간은 탁월하지 않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탁월한 성취를 달성하는 사람은 늘 소수다. 대다수의 사람은 평범한 성취에 머물고, 일부 사람들은 평범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런 삶의 실제가 인간 재능의 한계인지, 균등하지 않은 기회에 기인했는지는 따져볼 수 있겠지만, 이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탁월함은 평등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이 점은 자신이 평범하다고 생각하든, 탁월한 잠재력이 있지만 아직 실현하지 못했다고 생각하든 인정해야 하는 진실이다. 이 진실을 받아들일 때라야만 탁월함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탁월함의 원천이 모든 사람에게 있다'라는 생각은 .. 더보기
무엇이 탁월한 삶인가 무엇이 탁월한 삶인가 리처드 테일러 (Richard Taylor), 홍선영 역, 마디, 2014 Restoring Pride (1996) 분야 구분: 자기 계발, 자기 성찰, 철학 평점: 3/5 5: 두고두고 읽어야 하는 책/ 생각을 바꾸는 책 4: 두 번 이상 읽어야 하는 책 ' 생각에 강한 자극을 주는 책 3: 읽어두면 좋은 책. 어느 정도는 교양을 보태 줌 2: 즐거움을 주는 책. 1: 시간 낭비. 2019. 12. 27 1차 독서 개요 탁월함에 대한 철학적 에세이. 인간으로서 탁월함을 추구하는 삶에는 가치가 있다. 탁월함은 진정한 자부심의 근원으로서, 외부에서 이를 인정하는 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자신에게 부여하는 진정한 덕목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평등하지 않다. 인간의 실제는 능력과 성취로 보면.. 더보기
훈련: 윈톤의 연습을 위한 12가지 방법 WYNTONʼS 12 WAYS TO PRACTICE, FROM MUSIC TO SCHOOLWORK PUBLISHED IN THE EDUCATION DIGEST, September 1996 음악에서 학교수업까지, 연습을 위한 윈톤의 12가지 방법 번역: 문정엽, 2018.11.6 탁월함을 얻는 천재적 자질을 가지고 있다면 엄청난 행운이다. 그러나 행운은 언제나 소수에게만 주어진다. 대부분의 사람은 평범하다. 이 말이 실망감을 주는가? 그럴 필요는 없다. 탁월함을 얻는 평범한 방법이 있다. 그것은 연습이다. 연습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다만, 연습을 '탁월하게' 해야만 한다. 연습은 호락호락하지 않다. 역설이지만 진리이다. 꽤 많이 알려진 '윈톤의 연습론"을 소개한다. 당신이 탁월함을 얻고 싶은 분야를 익히.. 더보기
[칼럼] 경영으로 세계를 보다: 탁월함에 이르는 길 [칼럼] 경영으로 세계를 보다탁월함에 이르는 길 Excellence is an art won by training and habituation. We do not act rightly because we have virtue or excellence, but we rather have those because we have acted rightly. We are what we repeatedly do.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 (Aristotle)탁월함은 훈련과 습관을 통해 얻어지는 예술이다. 인간은 덕이나 탁월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르게 행동했기 때문에 탁월해지는 것이다. 인간은 습관적으로 행동하는 그대로의 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