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썸네일형 리스트형 MBA에서 가르치지 않는 경영학(12) 리더로 일하라 리더십은 자질이 아니라 결과다. 리더십을 정의하는 것은 자질이 아니라 결과다. -피터 드러커 리더십의 키워드: 인간, 조직, 일 이번 글은 리더십을 다룬다. 신선한 주제는 아니다. 그러나 가장 많은 이론이 있지만 가장 어려운 주제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리더십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조직의 관계를 다루기 때문이다. 인간이 가진 복합성만큼 리더십은 복합적인 특성을 갖게 되며, 사람이 모여 일하는 조직과 관계되면서 더욱 복합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무엇이 리더십인가?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것은 어떤 뜻인가? 경영자들은 이론과 경험을 통합해서 리더십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론은 어느 정도 리더십을 이해하는 시각을 제공한다. 대개 리더십 이론은 탁월한 리더들을 연구하고 그들이 가졌다고 생각하는 공통점을 뽑아낸 .. 더보기 리더십은 벗어남이다 리더십은 자질 이상이다. 평범한 사람이 하지 못하는 일을 리더는 한다. 인간이 살아온 역사가 전환점을 맞이하고, 진보해 온 것은 탁월한 리더와 이를 따르는 단합된 사람들의 노력에 빚을 지고 있다. 리더십은 개인의 발전과 함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중요한 자산이다. 그러하면 리더십이란 어떤 것일까? 20세기를 들춰 보자. 2차 세계대전은 유럽 국가의 전쟁으로 시작해서 전 세계가 관여한 비극이었다. 두 명의 유럽인이 무대 중앙에 있었다. 한 사람은 그 이념과 정체를 이해하기 어려운 전체주의를 대표한 독일의 히틀러였고 또 한 사람은 70세가 넘어 민주주의 국가를 대표하는 책임을 맡은 영국의 처칠이었다. 처칠은 대단한 리더였다. 그는 민주주의 국가가 굳게 믿는 신념을 대변했고, 국가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유럽 국가.. 더보기 드러커의 질문(5) 리더십 실천과 사람의 계발 소크라테스는 2500년 전 아테네에서 "당신이 아는 진실은 무엇인가?"를 질문했다. 20세기 피터 드러커는 기업가와 경영자들, 그리고 지식근로자들에게 "당신은 왜 경영을 하며, 어떻게 하려고 하는가?"를 질문했다. 질문은 다르지만 두 사람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단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성찰을 통해 찾아낸 답만이 진정으로 진리가 된다는 것이다. 드러커 경영사상을 공부하면서 그가 질문한 내용을 40개로 정리했다.경영은 변화를 목표로 하는 인간의 행동이다. 그 변화는 현실 세계에서 가치 있는 제품과 서비스로 나타난다. 경영자는 늘 현실을 마주하면서 변화를 꿈꾸고 변화를 통해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향한다. 드러커의 질문은 이러한 경영자의 실천을 이끄는 닻이다. ** 사진카드는 pixaba.. 더보기 DRUCKER WEEKLY 8 리더십은 책임이다 DRUCKER WEEKLY피터 드러커로 경영과 세상 읽기008/ 2017 리더십은 책임이다 내가 만나왔던 모든 효과적인 리더(effective leader)들은-내가 함께 일해봤거나 단지 지켜봤던 사람들 모두- 4가지의 단순한 진리를 알고 있었다; 리더는 추종자를 가진 사람이라는 것; 인기(대중성)는 리더십이 아니며, 결과가 리더십이라는 것; 리더는 아주 잘 보이는 존재로서, 리더는 본보기를 만든다는 것; 리더십이란 지위, 특권, 타이틀, 또는 금전이 아니며, (바로) 책임이라는 것을. 내가 고등학교 마지막 학년이었을 때, 전쟁에서 심한 부상을 당한 베테랑이었던 훌륭한 역사선생님께서는 1차 세계대전을 다룬 많은 역사책들 중에서 몇 권을 골라서 읽고, 에세이를 쓰라고 하셨다. 그리고 나서 학생들은 에세이에.. 더보기 DRUCKER WEEKLY 004/ 2017 진정성과 리더십 DRUCKER WEEKLY피터 드러커로 경영과 세상 읽기004/ 2017 리더십과 진정성* 경영진의 성실성과 진지함을 보여주는 증거로서 진실한 성품은 타협할 수 없는 요소이다. 이것은, 다른 무엇보다도, 경영진이 ‘사람’에 관한 결정을 할 때 드러나야 한다. 왜냐하면 성품은 리더십이 발휘되는 통로이며, 모범을 제시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이를 모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성품이기 때문이다. 성품은 사람들에 대해서 이러쿵저러쿵 쉽게 말하게 되는 어떤 것이 아니다. 함께 일하는 사람들, 특히 부하직원들은, 몇 주만 지나면 그 사람이 진정성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아차린다. 이들은 무능함, 무지, 불안정성, 또는 나쁜 태도에 대해서는 상당한 정도까지도 그 사람을 용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은 그 사람에게.. 더보기 나는 리더인가? 리더십 진단 체크리스트1 (리더십근본상태진단) Checklist: 리더십 진단 template ⓒ구글이미지 출처: 로버트 퀸 /Robert E. Quinn/ 미국 미시간대로스경영대학원 용도: 자신의 리더십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가를 확인하는 자기진단 리더십은 리더 자신이 리더다운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제대로 발휘된다는 전제하에 자신의 경험을 스스로 진단하는 도구로 제시함. 최고의 경험에 대한 자각을 통해 자신에게 있는 리더십 자질을 다시 발견하고, 현재 부족한 부분을 바꿔나갈 수 있는 행동지침을 발견할 수 있음.결과지향, 내면의지시, 타인중심, 외부개방성을 리더십의 근본상태로 정의함. Checklist 리더십의 근본상태 진단 성명: 작성일: 당신이 리더십의 근본상태에 도달했을 때를 생각하라. 즉, 자신이 리더로서 최고였던 때를 생각하라... 더보기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자기경영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자기경영 2016.3.31 / 2차정리: 2017.2.25피터 드러커 등저/윤원섭 역 | 매일경제신문사 | 원서 : HBR's 10 Must Reads on Managing Yourself (with Bonus Article "How Will You Measure Your Life? 분야구분: 경영학, 심리학, 자기계발, 자기경영, 인간 이해, 리더십 개요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실린 자기경영 또는 리더십에 관한 글을 모은 책이다. 초점은 리더로서의 올바른 삶을 위한 원칙과 행동에 대한 지침들이다.10개의 글이 있는데, 자기를 관리하는 것이 리더의 첫 번째 덕목이라는 점에서 주제는 동일하다. 다만, 자기관리를 무엇으로부터 시작할 것인가에 대한 접근방법이 다르다. 드러커는 '자기에 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