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영관6

MBA에서 가르치지 않는 경영학(2)사명과 비전을 세워라 지속가능한 조직을 만드는 첫 번째 과제 우리는 사명에 입각한 행동원칙을 체득해야 합니다. 우리는 한정된 자원인 사람과 자금을 최대한 효과를 내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어떤 결과들이 우리 조직을 위한 것인지 매우 명확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피터 드러커 사명: 존재의 이유 당신이 일하는 조직의 사명을 말해보라. 만일 잘 모르고 있다면 문제다. 혹은 대충 얘기하는 수준이라면 이것도 문제다. 사명에 대해 뚜렷한 개념이 없거나 부족하다면 경영자로서 자격상실이다. 사명이 없거나 사명이 불확실한 조직이 탁월한 업적을 성취할 가능성은 없다. 조직을 형성하는 첫 번째 요소이자 경영자가 명확하게 세워야 하는 정체성이다. 무엇을 사명이라고 말하는가? 먼저 아래 조직의 사명선언문을 읽어 보라. 세상의 모든 정보.. 2020. 9. 5.
MBA에서 가르치지 않는 경영학(1)경영은 인문예술이다 경영자의 신념과 가치가 경영을 만든다 경영은 지식, 자기인식, 지혜 그리고 리더십의 원리를 다룬다는 점에서 ‘liberal’(자유로운 사고)이며 이 원리를 실천하고 적용한다는 점에서 ‘art’(과학이 아니라 기예)이다. 경영자는 심리학, 철학, 경제학, 역사학, 물리학은 물론 윤리학에 이르기까지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에 대한 지식과 통찰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성과를 거두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지식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아픈 환자를 치료하고, 학생을 가르치고, 다리를 건설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판매해야 한다. (피터 드러커, 매니지먼트, 개정판/ Management, Revised Edition) 경영은 000이다 오래전에 경영학과에 입학했을 때 첫.. 2020. 9. 5.
드러커의 질문 (1) 경영과 경영자 소크라테스는 2500년 전 아테네에서 "당신이 아는 진실은 무엇인가?"를 질문했다. 20세기 피터 드러커는 기업가와 경영자들, 그리고 지식근로자들에게 "당신은 왜 경영을 하며, 어떻게 하려고 하는가?"를 질문했다. 질문은 다르지만 두 사람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단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성찰을 통해 찾아낸 답만이 진정으로 진리가 된다는 것이다. 드러커 경영사상을 공부하면서 그가 질문한 내용을 40개로 정리했다.경영은 변화를 목표로 하는 인간의 행동이다. 그 변화는 현실 세계에서 가치 있는 제품과 서비스로 나타난다. 경영자는 늘 현실을 마주하면서 변화를 꿈꾸고 변화를 통해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향한다. 드러커의 질문은 이러한 경영자의 실천을 이끄는 닻이다. ** 사진카드는 pixaba.. 2017. 8. 4.
도서소개_ 피터 드러커 경영수업 피터 드러커 경영수업 문정엽 저21세기북스2016년11월 10일 저자의 글 "경영관이 경영을 결정한다". 위대한 경영사상가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의 핵심사상을 다섯 가지 렌즈(주제)로 나눠 전달한다: 경영의 본질, 경영자가 하는 일, 탁월한 경영자와 목표달성능력, 효과적인 경영실행의 원리, 인사결정과 리더십. 드러커 경영사상은 단지 조직만을 위한 목표달성 수단이나 경영자가 수행하는 행위라고 알던 편협한 경영관에서 벗어나 ‘인간-조직-사회’와 경영을 연결해서 바라보는 것, '전체로서의 경영'이라는 지혜를 얻도록 돕는다. 기업과 경영에 대한 불신을 극복하고 내면의 가치와 일치하는 경영, 인간과 사회를 위해 공헌하는 경영에 대한 신념과 지혜를 드러커를 통해 발견할 수 있다. 경영마인드는 경영자.. 2016.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