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누구에게나 있는 탁월함을 발견하기
  • 탁월한 성취를 얻는 지혜를 얻기
반응형

0. 탁월함에 대한 생각25

탁월한 사람들은 자기경영에 성공한 사람들이다 자기경영이라는 말은 상투어처럼 널리 퍼진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이 갖는 본래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은 소수인 듯하다. 성공이 필수 덕목처럼 된 사회에서 자기경영은 성공을 위한 자기수련, 자기억제, 자기규율로 받아들여진다. 이런 생각이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은 아니다. 수천 년 전 현인들이 지도자의 덕목으로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말한 것도 있으니 말이다. 큰 일을 하는 사람, 예를 들어 지역, 사회, 국가를 위해 일할 사람은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공익을 정직하게 추구해야 한다. 그러니 자신을 먼저 다스려야 한다. 이런 의미 부여가 전혀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이 생각은 다소 부족한 생각이다. 우리는 모두가 지도자가 아니며 지도자가 될 필요도 없다. 과거 사회는 권력이 정해져 있었으며.. 2021. 6. 23.
탁월함과 지식(2) 탁월함은 탁월한 성취를 만드는 것이고, 지식은 탁월함을 얻는 원천이다. 그렇다면 어떤 지식을 말하는 것일까?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식을 잘 구분해야 한다. 앞 글(탁월함과 지식(1))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 구분을 설명했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구분은 지식에 대한 전체상으로서는 의미가 있지만, 현대사회를 사는 지식근로자가 필요로 하는 탁월함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다른 구분이 필요하다. 즉, 지식근로자가 지향하는 탁월함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이들이 배우고 훈련할 수 있도록 특정될 필요가 있다. 지식근로자의 탁월함은 완벽한 인간이나 최고의 수양은 아닐 것이다. 지식근로자가 필요로 하는 탁월함은 전문가로서 또는 조직 안에서 자신의 역할을 탁월하게 수행하고 계속 성장하는 것에 있다. 이 관점에.. 2021. 4. 27.
탁월함과 지식(1) 탁월함은 매우 뛰어난 성취를 이끄는 힘을 말한다. 탁월함은 인간이 보여주는 자질이자 기능이다. 우리는 탁월함을 탁월한 사물, 탁월한 기계처럼 지칭하지는 않는다. 사물 자체는 아름다움이라는 가치로 평가할 수 있지만 사물은 그것 자체로 존재하기 때문이고, 기계와 같은 인공물은 인간이 창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탁월함은 인간의 활동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내는 힘이다. (자연에 대해 신이 부여한 최고의 창작물로 말하는 것은 논외로 하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추구해야 하는 최고의 덕목으로서 탁월함(Arete, 아레테)을 말했고, 그 예로 구두수선공, 의사를 설명했는데 탁월함은 인간이 활동하는 모든 분야에서 드러난다. 이제 탁월함을 만들고 발휘하는 원천을 생각해 보자. 우선 타고난 재능이나 자질, 행동에서 .. 2021. 4. 22.
탁월함을 찾는 질문들 2021.1. 13 탁월함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탁월함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탁월함의 원천은 무엇인가? 탁월한 사람이 되려먼 어떻게 해야 하는가? 탁월한 사람들은 어떻게 탁월하게 되었는가? 탁월함을 얻기 위해 극복해야할 장애는 어떤 것들인가? 탁월한 사람이 되기 위해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탁월한 사람이 되기 위해 바꿔야 할 것은 무엇인가? 탁월한 사람이 되기 위해 행동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탁월함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2021. 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