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탁월함18 무엇이 탁월한 삶인가 무엇이 탁월한 삶인가 리처드 테일러 (Richard Taylor), 홍선영 역, 마디, 2014 Restoring Pride (1996) 탁월함을 설명하는 간명하고 깊이있는 탐구 탁월함에 대한 철학적 에세이. 인간으로서 탁월함을 추구하는 삶에는 가치가 있다. 탁월함은 진정한 자부심의 근원으로서, 외부에서 이를 인정하는 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자신에게 부여하는 진정한 덕목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평등하지 않다. 인간의 실제는 능력과 성취로 보면 탁월함과 평범함, 비천함이 분명히 있다. 자신에게 잠재된 탁월함을 추구함으로써 인간의 삶은 작품이 되고, 스스로를 재창조하게 된다. 2019. 12. 27 1차 독서/2023년 5.20 2차 독서 무엇을 얘기하는가 인간은 평등하지 않다. 무엇이 더 우월한 사람을 만드.. 2023. 5. 28. 탁월함을 이끄는 3가지 원천 멋진 인생을 정의한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결국 자신이 바라는 모습, 자신이 바라는 삶을 구성하는 것이어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실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이런 인생을 이끄는 원천이다. 이를 표현하는 말은 다양하다. 꿈, 희망, 욕망, 기회 등등.나는 이런 말이 틀린 말은 아니지만 왠지 부족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었다. 이제야 분명한 말을 찾았다, 그것은 '힘'이다. 자신이 바라는 삶이란 이곳에서 저곳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현실을 바꾸는 것이고 미래를 위해 참고 견디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엇이야 말로 원천이라고 말 할 수 있다. 결국 '힘'이다. 탁월한 사람들은 힘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탁월한 삶을 성취할 수 있었던 원천은 그들이 가진 힘이고 그들이 발휘한 힘이다. 평범한 사람.. 2021. 8. 30. 탁월함- 개인 차원과 조직 차원 우리나라 양궁이 2020 도쿄올림픽에서 4개의 금메달을 땄다. 4개의 금메달 중에 1개는 개인전, 3개는 단체전이다. 대단한 업적임에 틀림없다. 개인경기보다 단체경기에서 메달이 많다. 지난 올림픽에서도 그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떠오른다. 개인의 탁월함과 조직의 탁월함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 무엇이 앞설까? 둘은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일까? 스포츠 경기로 생각해 보자. 단체경기 또한 개인역량을 바탕으로 하니 개인기량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그럼에도 개인역량은 개인으로 있을 때에 비해서 팀이라는 환경에서 상승하는 어떤 측면이 있지 않을까?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홀로 매우 잘하는 사람이 어떤 조직에 들어가고 나서는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는 희소하지 않다. 이 질문을 우문이라고 생각할 .. 2021. 8. 2. 탁월한 사람들은 자기경영에 성공한 사람들이다 자기경영이라는 말은 상투어처럼 널리 퍼진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이 갖는 본래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은 소수인 듯하다. 성공이 필수 덕목처럼 된 사회에서 자기경영은 성공을 위한 자기수련, 자기억제, 자기규율로 받아들여진다. 이런 생각이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은 아니다. 수천 년 전 현인들이 지도자의 덕목으로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말한 것도 있으니 말이다. 큰 일을 하는 사람, 예를 들어 지역, 사회, 국가를 위해 일할 사람은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공익을 정직하게 추구해야 한다. 그러니 자신을 먼저 다스려야 한다. 이런 의미 부여가 전혀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이 생각은 다소 부족한 생각이다. 우리는 모두가 지도자가 아니며 지도자가 될 필요도 없다. 과거 사회는 권력이 정해져 있었으며.. 2021. 6. 2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