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기경영4

자기경영_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자기경영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자기경영 2016.3.31 / 2차정리: 2017.2.25/ 2023.5.20 3차정리 피터 드러커 등저/윤원섭 역 | 매일경제신문사 | 원서 : HBR's 10 Must Reads on Managing Yourself (with Bonus Article "How Will You Measure Your Life?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실린 자기경영 또는 리더십에 관한 글을 모은 책이다. 초점은 리더로서의 올바른 삶을 위한 원칙과 행동에 대한 지침들이다. 10개의 글이 있다. 자기를 관리하는 것이 리더의 첫 번째 덕목이라는 점에서 주제는 동일하다. 자기관리를 무엇으로부터 시작할 것인가에 대한 다른 접근방법을 다루고 있다. 드러커는 '자기에 관한 이해'를 중요하게 제시하고(Lesson.. 2023. 5. 27.
탁월한 사람들은 자기경영에 성공한 사람들이다 자기경영이라는 말은 상투어처럼 널리 퍼진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이 갖는 본래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은 소수인 듯하다. 성공이 필수 덕목처럼 된 사회에서 자기경영은 성공을 위한 자기수련, 자기억제, 자기규율로 받아들여진다. 이런 생각이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은 아니다. 수천 년 전 현인들이 지도자의 덕목으로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말한 것도 있으니 말이다. 큰 일을 하는 사람, 예를 들어 지역, 사회, 국가를 위해 일할 사람은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공익을 정직하게 추구해야 한다. 그러니 자신을 먼저 다스려야 한다. 이런 의미 부여가 전혀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이 생각은 다소 부족한 생각이다. 우리는 모두가 지도자가 아니며 지도자가 될 필요도 없다. 과거 사회는 권력이 정해져 있었으며.. 2021. 6. 23.
MBA에서 가르치지 않는 경영학(17) 자신을 경영하라 나는 무엇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가 만일 청소부로 불리는 어떤 사람이라면, 그는 미켈란젤로가 그림을 그리듯이, 혹은 베토벤이 작곡을 하듯이 혹은 셰익스피어가 시를 짓듯이 거리를 청소할 수 있어야 한다. 그는 거리를 너무나도 깨끗한 게 청소해서 하늘과 땅에 있는 신들이 "여기에 자신의 일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위대한 청소부가 있다'"라고 말할 수 있도록 일해야 한다. -마르틴 루터 킹 주니어 탁월함에 대해 리더는, 혹은 리더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탁월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탁월함이란 어떤 의미일까? 고대 그리스에서는 많은 지성들이 탁월한 삶을 탐구했다. 탁월한 삶은 인간에게 최고의 덕목인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르테(Arte)'라고 탁월함을 지칭하면서, 이것은 인간에게 있.. 2021. 2. 10.
자기를 갱신하기_개인의 재창조, 존 가드너 개인의 재창조, 존 가드너 1990년11월10일 매켄지컴퍼니에게 번역: 문정엽(2015.8.4) 좋은 삶에 대해 말하는 좋은 글이다. 젊은 직원에게 보내는 서신형식이지만, 삶의 의미와 진정한 성취를 고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울림이 있다. 무엇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삶이 자신에게 보다 충만한 경험이 되어야 한다는 것, 배우고 성장하고 교류하는 총체적 삶에 대한 애정을 담고 있다. 완벽함에 대한 갈증 혹은 욕망이 아니라 존재하고 경험하고, 이 속에서 보다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호기심과 열정을 유지하는 태도에 대해 강조한다. 출처; "Personal Renewal" John Gardner, Delivered to McKinsey & Company, Phoenix, AZ, November 10, 1990 .. 2016.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