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러커리안 썸네일형 리스트형 드러커리안 모임(2016.10.18.화) 드러커리안 모임 2016년 10월 18일 07:00~09:00서울 남산클럽참석: 드러커리안 회원12명 주제: 피터 드러커 경제인의 종말 최종모임으로 갑작스럽게 발제를 맡았다. 원래 7장과 8장이었지만, 을 요약하는 방식으로 발제했다. 은 드러커가 최초로 발간한 책으로 1939년 그가 30세 때 저술한 정치/사회분석서이다. 2차대전을 승리로 이끈 영국 처칠 수상이 이 책을 읽고 극찬하기도 했지만, 전체주의의 기원과 실체에 대해 분석한 책으로는 드문 위치를 차지한다. 드러커도 언급했지만 한나 아렌트가 저술한 이 1951년에 나왔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전체주의가 발흥했던 시대와 가장 근접한 시기에 자신의 관찰과 경험을 토대로 하고 독자적 해석을 담은 대단한 저술이다. 소감) 전체주의는 왕정도 아니고 일반적인 .. 더보기 드러커리안 조찬모임 / 경제인의 종말/ 2016.3.15 /서울클럽 07:00-09:00/ 2016.3.15 / 서울클럽 주제: 경제인의 종말 (피터 드러커, 1939) 발제: 송경모 박사 (8:30에 도착해서 일부 참여) 대화) 드러커 박사의 경영사상의 원초, 씨앗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시간의 검증을 견딘 것(이재규 박사의 해석) 본질을 통찰하는 드러커 박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절대주의의 한계(경제적 번영을 통한 자유를 약속한 자본주의나, 평등을 약속한 막시즘의 한계, 독일 파시즘의 한계)를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은 절망했을 때 절대적 이상을 쫒는다. 나의 생각) 1. 드러커의 세계관과 경영관의 연결 - 세계는 그럭저럭 살만한 곳. 절대적 이상을 꿈꾸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견디고 참아낼 만한 세계 (드러커가 실존주의철학을 바탕에 두고 있다는 얘기가 맞다고 본다.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