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탁월함29 [칼럼] 경영으로 세계를 보다: 탁월함에 이르는 길 [칼럼] 경영으로 세계를 보다탁월함에 이르는 길 Excellence is an art won by training and habituation. We do not act rightly because we have virtue or excellence, but we rather have those because we have acted rightly. We are what we repeatedly do.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 (Aristotle)탁월함은 훈련과 습관을 통해 얻어지는 예술이다. 인간은 덕이나 탁월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르게 행동했기 때문에 탁월해지는 것이다. 인간은 습관적으로 행동하는 그대로의 존.. 2018. 5. 11. 탁월함을 말하는 이유 인간이 성취하는 가장 뛰어난 경지를 탁월함이라고 한다. 베토벤의 음악, 다빈치의 그림, 간디의 사회운동, 앨런 머스크의 전기차 사업, 메시의 플레이 등. 이 탁월함을 생각하는 이유를 말하고 싶다. 탁월함은 인간이 살아가는 삶의 실제이면서, 또한 많은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원천이다. 인간이 활동하는 모든 분야에는 한계라고 생각했던 수준을 넘어서는 드문 성취에 도달하는 소수의 사람들이 있어 왔다. 음악 분야를 보자. 모짜르트나 베토벤은 수 백년을 넘어선 현재까지도 감동을 주는 뛰어난 예술적 업적을 성취했다. 현대인은 이들이 만든 음악을 들으면서 오늘날에도 깊은 예술적 감동을 향유한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다. 경제분야 뛰어난 기업가들이 이룩한 성취는 많은 사람들의 물질생활에 풍요를 더해주었다. 탁월함은 .. 2018. 4. 17. 자기계발 그만하라 지난주 울산에서 병원 직원들을 청중으로 에 대해 강의했다. 주제를 탁월함으로 잡은 이유는 명백하다. 자신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탁월함을 위해 노력하자! 결국 자기계발을 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그런데 강의를 준비하면서 웬지 모르는 껄끄러움을 느끼면서 몇 가지 고민을 했다. 자기계발에 대해 너무나도 많은 메시지를 받고 있는 직원들에게 어떤 내용으로 탁월함에 대해 말해야 할까? 자기계발은 더이상 신선하지도 않고 모르는 주제도 아닌데 말이다. 마치 매일 먹는 밥과 반찬을 다시 내놓으면서 맛있게 먹으라는 요구가 아닐까? 자기계발은 우리 사회에서 '주의(이즘)'가 되었다. 재능과 자질을 계발한다는 취지에는 그 누구도 반대하기 어렵다. 이제는 누구나 자기계발을 말한다. 자기계발을 권하는 조직, 자기계발을.. 2017. 8. 24. 인간성취모델_가치, 강점, 영향력 + 기회 탁월함은 보통 사람들과 비교 불가한 뛰어난 업적을 말한다. 탁월함은 어떻게 해서 가능한 것일까? 탁월한 성취를 남긴 인물들을 연구함으로써 어느 정도 의문을 푸는 해답에 근접할 수 있다. 바로 이들이 갖고 있는 공통점을 찾는 것이다. 위대한 인물들이 살아간 시대와 활동 분야, 각자의 강점과 재능은 달랐지만 뛰어난 업적을 창조한 인물들의 사고와 행동, 업적에 담겨 있는 공통점 말이다. 공통점이 있다면 이를 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유한한 존재인 인간이 탁월한 성취를 하게 되는 과정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겠다. 나름대로 연구한 탁월한 인물들과 이들이 업적을 달성한 과정을 통해 인간 성취 모델을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아직은 가설이다. 이 모델을 통해 보다 다양한 인물들의 성취를 분석함으로써 탁월함.. 2017. 8. 20. 이전 1 ··· 4 5 6 7 8 다음 반응형